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4 국민연금 수령나이 확인하기

by whitechacha 2024. 1. 22.

우리나라는 직장인 및 자영업자등 사회활동을 한다면 매달 주기적으로 입금하여야 하는 국민연금을 피해 갈수가 없습니다. 아무리 현재 국민연금에 대한 이슈가 되어 후대세대에 대해 불안리스크가 있다고 해도 꾸준히 제대로 운영되고 있는것을 볼수가 있습니다. 오늘은 올해 20204년에 국민연금 수령나이를 몇년도생부터 가능한지와 계산방법등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국민연금 수령나이

- 노령연금 : 연금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이된 가입자들에게 해당이되며, 그동안에 납부한 금액에 따라 국민연금을 계산하여 연금을 평생 동안 지급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 조기 노령연금 : 위의 노령연금 조건처럼 가입기간이 10년이상을 채웠지만 지급 개신나이에 도달하지 못하게되어 받지 못할경우 미리 조기에 노령연금을 지급률에 따라 받을수 있는 제도를 말합니다.

 

- 불할연금 : 만약 이혼한 부부의 경우 이혼한 배우자의 안정적인 노후생활을 보장하기위해 혼인기간동안 배우자의 기여도에 따라 불할하여 지급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국민연금 수령나이 확인하기

 

출생연도 지급개시연령
노령연금 조기노령연금 분할연금
53년 ~ 56년생 61세 56세 61세
57년 ~ 60년생 62세 57세 62세
61년 ~ 64년생 63세 58세 63세
65년 ~ 68년생 64세 59세 64세
69년생 이후 65세 60세 65세

 

위의 표를 보시면 현재의 경우 만 63세가 되어야 국민염금을 수령할수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24년에는 61년생 분들이 만 63세가 되는 해이므로 올해 생일이 지난다면 국민연금을 수령받을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65년생 부터는 만 64세가 되어야지만 국민연금을 받을수가 있기때문에 안타깝지만 29년도에 생일이 지나야지만 국민연금 혜택을 받을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조기수령의 경우에는 개시연령으로 부터 5년 전부터 신청할수가 있습니다.

 

국민연금 조기수령

국민연금을 미리(조기수령) 받는다면 원래 받아야 되는 연금금액보다 줄어되게 되어 있습니다. 그렇다보니 잘 판단하고 선택하시면 좋을듯 싶습니다.

 

예를 들어 64년생의 경우에는 27년도 생일이 지나서야만 만 63세가 됩니다. 이때가 되어야 국민연금을 받을수있는 조건이 됩니다. 하지만 조기연금의 경우에는 22년 생일지나 만 58세가 된다면 신청 조건이 가능하다는 말씀입니다.

 

청구시 연령 58세 59세 60세 61세 62세
지급률 70% 76% 82% 88% 94%

 

위에 표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조기수령의 경우 조기 시청해 조건이 1년마다 6%가 감액되므로 4년전에 미리 신청을 했다면 76% 받을것이며, 2년전에 신청했다면 88%를 받게됩니다.

 

여기서 더 디테일하게 연 6%차감되는것을 볼수가 있는 부분에서 월별로 계산을 하게된다면 한달에 0.5%씩 감액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즉 2개월당 1% 줄어든다고 보시면되겠습니다.

 

예를들어 국민연금 수령금액이 계산하기 쉽게 100만원 받을수 있는 조건이다고 한다면, 미리 조기수령을 5년전에 했다면 지급률이 70%이기 때문에 월 70만원을 지급 받는 것이며, 2년전에 조기수령했다면 12%감액되어 월 88만원을 지급받게 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

납부액읠 조회하는 방법은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 확인 해볼수 있습니다. 홈페이지에 접속을 하여 전자 민원서비스탭을 클릭하셔서 들어가시면 됩니다.

 

그 후로는 개인 인증 로그인창이 나오는데, 이때는 공인인증서 또는 공동인증서로 로그인하여 들어 가시면 됩니다. 그렇게 로그인을 마치시면, 민원신청탭에 개인민원/사업장미원페이지로 접속을 하여 전자민원 서비스 메뉴를 확인하여 가입내역조회탭을 들어가시면 됩니다.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 사이트

 

국민연금공단

 

www.nps.or.kr

 

국민연금 수령액 확인하기

위에서는 이때까지 국민연급을 얼마만큼 납부했는지, 납부액을 확인하는 방법을 보았다면 이번에는 본인이 국민연금을 수령할 나이가 되었을때 지금처럼 납부를 한다면 얼마금액을 수령받을수 있는지, 수령액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아까 처럼 먼저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 접속을 하셔서 로그인을 하시면 됩니다. 그런다음 가입 내역 조회 탭을 크릭하면 지금까지 납부한 연금과 각종 정보에 대해 확인 해보실수가 있습니다. 

 

 

 

반응형